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7

롬12:16 서로 마음을 같이 하며..캘리성구 롬12:16서로 마음을 같이 하며 높은데 마음을 두지 말고 도리어 낮은데 처하며 스스로 지혜 있는체 말라 마음톡톡네이버 폼 설문에 바로 참여해 보세요.form.naver.com 하나님과 사람을 잇다말씀영상, 열린예배, 성경사전, 튜터링, 웹툰, 캘리그라피, 음악www.wordsquare.org 2025. 10. 14.
한국 전통 예절의 뿌리와 연결되는 경외 예(禮)와 하나님 경외 – 예절과 경외심의 연결동방예의지국, 질서와 존중의 전통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동방예의지국이라 불렸습니다. 이 명칭 속에는 단순한 겉치레의 예절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람과 하늘 사이의 조화와 존중을 중시하는 깊은 정신이 담겨 있습니다. 예(禮)는 곧 질서와 존경, 그리고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으로 연결됩니다.한국의 전통 예절, 그 뿌리한국 사회에서 전통 예절은 사람 사이의 관계를 바르게 하고, 공동체의 조화를 유지하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어른을 공경하고, 손윗사람을 존중하며, 일상 속에서 겸손과 배려를 실천하는 것이 바로 예의 정신이었습니다. 특히 절하는 법, 인사법, 식사 예절, 의복과 복장 등 생활 전반에 스며든 예절은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사람됨의 근본을 가르치는 교육이었.. 2025. 10. 13.
😈유혹, 시대 장소 불문 달콤 성경에서 보는 만물 : 유혹_시험 요망 혼란 경고 피할길😈 유혹, 인간의 보편적 경험성경은 인간의 삶과 마음을 꿰뚫는 책입니다. 그중 **유혹(誘惑)**은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모든 사람이 경험하는 주제입니다.유혹은 달콤하게 다가오지만 결국 영혼을 흔드는 시험이며, 성경은 이를 분명하게 경고하고 있습니다.📖 성경 속 유혹의 장면들에덴동산의 유혹“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 나무인지라…” (창세기 3:6) 뱀의 말에 넘어간 하와와 아담의 타락은 인류 최초의 유혹과 죄를 보여줍니다. 예수님의 시험“이에 예수께서 성령에게 이끌리어 마귀에게 시험을 받으러 광야로 가사…” (마태복음 4:1) 예수님은 40일 금식 후 마귀의 유혹을 받으셨지만, 말씀으로.. 2025. 10. 3.
마24:13 끝까지 견디는자 구원 마24:13그러나 끝까지 견디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라 마24:13그러나 끝까지 견디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라 마24:13www.wordsquare.org 2025. 10. 2.
💍 5편. 성경적 자녀 양육과 결혼의 목적 💍 5편. 성경적 자녀 양육과 결혼의 목적 – 신명기 6장의 가르침결혼은 단순히 한 남자와 여자가 함께 사는 “동거”가 아닙니다. 성경적 결혼의 목적은 하나님이 세우신 가정을 통해 신앙을 다음 세대에 전하는 데 있습니다. 다시 말해, 결혼은 사랑의 결합일 뿐 아니라 세대를 이어가는 언약과 사명입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도 자녀 교육은 부부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입니다. TV 프로그램 “슈퍼맨이 돌아왔다”같은 육아 예능이 꾸준히 사랑받는 이유도, 부모들이 자녀 양육과 부모 역할에 깊은 고민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결혼의 큰 과제처럼 성경적 자녀 교육도 단순한 육아 기술을 넘어, 결혼의 본질적인 목적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성경이 말하는 결혼과 자녀 양육의 목적📖 신명기 6:6-7“오늘 내가 네게.. 2025. 10. 1.
🥮정(情)은 초코파이에만 있지 않아요 인(仁)과 이웃 사랑 – 정(情)과 성경의 사랑_동방예의지국, 따뜻한 정을 품은 민족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동방예의지국이라 불려 왔습니다. 그 이유는 단순히 예절을 중시했기 때문만이 아니라, 사람을 귀히 여기고 따뜻한 정을 나누는 문화가 삶의 밑바탕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어려울 때 함께 나누고, 기쁠 때 함께 웃으며, 서로를 가족처럼 여기는 마음. 이것이 바로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정(情)이자, 동양 사상에서 말하는 인(仁)의 정신입니다.한국인의 ‘정’, 인(仁)에서 비롯된 삶의 지혜동양 사상에서 '인(仁)'은 인간다움의 근본을 뜻합니다. 공자는 인을 이렇게 정의했습니다.“인을 행한다는 것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즉, 인은 타인을 존중하고 사랑하며 공동체 안에서 함께 살아가는 마음입니다. 우리의 '.. 2025.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