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5 [오늘의 성구] 벧전1:23 썩지 아니할 하나님의 말씀 너희가 거듭난 것이 썩어질 씨로 된 것이 아니요 썩지 아니할 씨로 된 것이니 하나님의 살아있고 항상 있는 말씀으로 되었느니라 벧전1:23 2025. 4. 2. 이병헌 유아인, 승패가 조작되지 않는 승부 영화 '승부'는 대한민국 바둑계의 전설적인 사제지간인 조훈현과 이창호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입니다. 이병헌이 스승 조훈현 역을, 유아인이 제자 이창호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쳤습니다. 조훈현은 한국 최초의 프로 9단으로 '바둑의 황제'라 불리며, 이창호는 그의 제자로서 방어적인 스타일로 '절대 지지 않는' 바둑을 구사했습니다. 두 사람은 1990년대 바둑 전성기 시절, 각종 대회 결승전에서 치열한 대결을 펼치며 바둑계를 풍미했습니다. 바둑과 성경 이야기는 여러 면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바둑은 한 수 한 수 신중한 선택을 요구하며, 그 과정에서 인내와 지혜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점은 성경에서 강조하는 지혜와 명철의 가치와 유사합니다. 성경은 지혜를 '행하는 능력', 명철을 '분별하는 능력'으로 정의.. 2025. 4. 1. 자기계발 : 계획적인 실천 습관이 주는 것 습관은 인생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좋은 습관을 들이면 목표를 쉽게 이룰 수 있고, 나쁜 습관을 고치지 않으면 원하는 삶과 멀어질 수 있습니다. 직장에서도, 학업에서도, 신앙에서도 지속적인 실천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특히 성경에서는 영생의 축복을 받기 위해 좁은 길을 걸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만큼 아무나 쉽게 가질 수 없는 복이며, 꾸준한 실천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자기계발을 위한 계획적인 습관 형성 방법과 신앙적 관점에서의 복된 습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기계발을 위한 계획적인 실천 습관 기르는 방법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모두 좋은 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자기계발을 위해 효과적인 습관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목표를 작게 나누어 실천하기큰 목표를 한 번에 이루.. 2025. 3. 31. [오늘의 성구] 시편1:1~2 복 있는 사람 복 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좇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자로다 시편 1:1-2 https://www.wordsquare.org/ 하나님과 사람을 잇다말씀영상, 열린예배, 성경사전, 튜터링, 웹툰, 캘리그라피, 음악www.wordsquare.org 2025. 3. 28. 나는 용서받았다. 길을 가다 보면 교회에서 나눠주는 홍보물에서 “당신은 용서받았습니다”라는 문구를 볼 때가 있다. 하지만 정말 그런 걸까? 단순히 종교를 믿는다고 해서, 스스로 용서를 구한다고 해서 죄가 사라지는 걸까? 어느 영화 속에서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 죄를 지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하나님께 용서를 받았다고 말하는 인물이 등장한다. 용서는 그렇게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죄를 지었다면 죄를 알아야 하고, 심판을 받아야 하며, 참된 용서는 그 과정을 이해하고 나서야 비로소 의미가 있다. 종교와 죄의 관계많은 사람들이 죄책감, 구원, 용서를 이유로 종교를 찾는다. 진정한 종교의 역할은 단순히 죄를 씻어주고 안심시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죄를 짓지 않도록 살피게 하고, 바른 길로 인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 2025. 3. 27. 지드래곤, 누구나 기다리는 가사 우리는 모두 마음을 표현할 방법을 찾는다. 때로는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이 있고, 누군가 대신 이야기해 주기를 바랄 때가 있다. 지드래곤의 노랫말은 시대를 관통하며 많은 이들의 감정을 대변해 주었고, 지금도 여전히 우리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우리는 어떻게 감정을 토로하고, 해소하며, 가볍게 할 수 있을까? 나의 감정을 토로하고 싶을 때 때로는 감정이 너무 벅차서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기쁨, 슬픔, 분노, 외로움 같은 감정들이 한꺼번에 몰려올 때 우리는 본능적으로 그것을 해소할 방법을 찾는다. ✔ 감정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음악을 듣거나 부르기 : 내 감정을 대신 표현해 주는 노래에 공감하며 위로받는다.일기나 글쓰기 : 내 감정을 정리하고, 스스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그림이나 예술.. 2025. 3. 26. 이전 1 2 3 4 5 6 7 ··· 15 다음